Surprise Me!

[경제를 부탁해]트럼프 ‘관세 전쟁’ 본격화?

2025-02-06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트럼프의 관세 전쟁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<경제를 부탁해>경제산업부 조현선 차장과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 <br> <br>[질문1] 우려했던 트럼프의 '관세 전쟁'이 본격화 됐네요? <br><br>네 그렇습니다. <br> <br>트럼프 미국 대통령이, 중국은 물론 멕시코, 캐나다, 유럽까지 관세 부과에 대해 엄포를 놨죠. <br> <br>애초 캐나다와 멕시코에 25%, 중국은 추가 10%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어제부터 관세가 적용된 중국은 트럼프 1기때부터 바이든 정부때까지 최대 30%가 이미 부과돼 있거든요. <br> <br>여기에 10%가 더 붙는다는 의미입니다.<br> <br>이제 관세 발표가 시작이란 점에서,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습니다.<br><br>[질문2] 해당 국각들이 맞불을 놓으면서 분위기가 심상치 않아요? <br><br>당장 미중 갈등이 심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옵니다. <br> <br>중국 관세가 적용되는 어제, 중국이 기다렸다는듯이 보복 조치를 발표했습니다. <br> <br>주 내용은 10일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최대 15%의 맞불 관세, 첨단기기에 많이 이용되는 희귀광물 수출 통제입니다.<br> <br>트럼프와 시진핑의 통화 계획도 무산되고, "서두르지 않겠다는" 트럼프, 해결이 쉽지 않아 보입니다.0<br> <br>미국산 오렌지를 먹지말자고 기자회견까지 열었던 캐나다, 그리고 멕시코는 한 달 이란 시간을 벌었습니다. <br> <br>트럼프와의 통화 협상으로 재협상의 여지가 남은거고요. <br> <br>희귀광물이나, 캐나다의 원유는 미국도 필요한 부분들인데, 이 또한 '밀당'을 위한 트럼프의 전략이란 분석도 나옵니다.<br> <br>[질문3] 우리나라도 관세 폭탄에서 자유로울 순 없죠? <br><br>우려되는 부분, 세 가지로 추려봤습니다. <br> <br>첫번째는 아직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한미FTA를 다시 손질할 것이냐입니다. <br> <br>지난 1기 때를 보면 여러 번의 협상을 통해 자동차, 전자제품들의 대미 수출 관세가 단계적으로 철폐되고 인하되는 혜택을 얻었죠. <br> <br>한국 철강에 대한 관세 대신 쿼터제로 협상을 했었고요. <br><br>트럼프가 이를 통한 미국의 무역 적자가 커진다고 판단해 수정이 불가피할 수 있습니다.<br> <br>두 번째는 멕시코와 캐나다에 진출해 있는 현지기업들에 대한 타격입니다. <br> <br>한 달 유예는 됐지만 멕시코-캐나다-미국은 대다수 제품에 무관세를 유지해 왔거든요. <br> <br>그래서 삼성전자 등 한국 기업들은 미국과 가까운 두 나라에 생산 기지를 구축하는 '니어쇼어링' 전략을 추진해왔습니다. <br> <br>실제로 이 두 나라에 나가 있는 한국 기업은 500개가 넘습니다.<br> <br>예컨대 TV나 자동차를 여기서 만들어서 미국으로 보냈던건데요. <br> <br>관세가 부과된다면 현지에 있는 한국기업도 포함인 겁니다. <br> <br>마지막으로 중국에 대한 의존도입니다. <br> <br>관세가 높아져 미국 IT 가전 시장이 위축되면, 중국 내 생산 감소가 될거고, 한국이 중국에 수출하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중간재 수출 감소까지 이어집니다. <br> <br>우리나라 대중국 수출액 중에 85%가 이 중간재에 해당됩니다.<br><br>[질문3-1] 보편 관세도 거론되고 있잖아요? <br><br>모든 수입품에 10~20% 관세 일괄 적용하는 것인데 현실화 된다면 여파가 클 겁니다. <br> <br>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보편관세를 부과하고 맞대응까지 더해진다면 한국 수출이 최대 448억 달러 감소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.<br> <br>[질문4] 그럼 한국기업들 빠른 조치가 필요하겠어요? <br><br>그렇습니다. <br> <br>국내 기업들을 취재해보니, 트럼프 당선 전부터 관세 현실화를 감안해 전략을 수정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사전에 멕시코 공장에서 물량을 최대한 생산해 미국으로 이미 넘기고, 재고를 없애기 위해 공장 가동률을 아예 낮췄다고 전해집니다. <br> <br>니어쇼어링의 전략 국가가 달라져야할 시점으로 보입니다.<br> <br>[질문5] 정부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습니까? <br><br>정부는 연일 대응 긴급회의를 개최하고 있습니다. <br><br>산업부 통상당국은 현지 공관과 24시간 동향을 모니터링하고 코트라 내 '헬프 데스크'를 즉시 가동한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각 기업의 조건과 상황이 다른 만큼 애로사항을 듣고 직접 지원에 나선다는 겁니다. <br> <br>정부도 기업도, 트럼프 1기를 경험한 만큼 반면교사 삼아 필요요소를 짚어 '트럼프와의 지혜로운 협상'이 시급해 보입니다.<br> <br>지금까지 경제산업부 조현선 차장이었습니다.<br /><br /><br />조현선 기자 chs0721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